비 오는 날에도 뽀송하게, 꿉꿉한 냄새 없이 빨래를 말리는 방법은?
장마철이나 습한 여름날에는 빨래에서 퀴퀴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내에서 건조해야 할 경우엔 그 냄새가 더 심해질 수 있죠.
이런 환경에서도 옷을 산뜻하고 뽀송하게 유지하려면
빨래를 말리는 방법과 장소가 핵심입니다.
집에서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냄새 제거와 건조 팁을 소개합니다.
창문은 닫고 선풍기를 사용하세요
빨래 건조엔 환기가 중요하지만, 장마철엔 창문을 열면
오히려 습기가 더 들어와 역효과를 줍니다.
이럴 땐 창문을 닫고 제습기나 선풍기를 이용해
공기 순환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선풍기는 빨래 쪽으로 직접 바람을 보내야
건조 시간이 단축되고 냄새 발생도 막을 수 있습니다.
식초 한 스푼으로 천연 탈취 효과를
세탁 시 섬유유연제 대신 식초 한 스푼을 넣어보세요.
천연 탈취제로 작용해 땀이나 곰팡이 냄새를
중화시켜 줍니다.
섬유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산뜻한 향을 유지할 수 있어
피부가 민감한 분들에게도 좋은 방법입니다.
옷 사이 간격은 주먹 하나 이상 띄우세요
빨래를 널 때는 옷과 옷 사이에
최소한 주먹 하나 정도의 간격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가까이 걸면 공기 순환이 안 되어
냄새가 생기고 고르게 마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널기 전에 간격을 꼭 확인하세요.
건조대 아래에 신문지를 깔아 습기 제거
작은 팁이지만 효과는 확실합니다.
건조대 아래에 신문지를 넓게 펴두면
아래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흡수해
전체 건조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신문지는 공기 중 수분을 자연스럽게 흡수합니다.
빨래 배치 순서도 중요합니다
수건이나 청바지처럼 두꺼운 옷은 가장 바깥쪽에,
셔츠나 티셔츠처럼 얇은 옷은 중앙에 걸어주세요.
이렇게 하면 공기 통로가 생기고
실내에서도 골고루 잘 마릅니다.
빨래 종류 추천 위치
수건, 청바지 | 바깥쪽 |
셔츠, 티셔츠 | 중앙 |
다 말린 빨래는 바로 개지 않으면 냄새가 재발합니다
빨래가 완전히 말랐더라도 바로 개지 않고 방치하면
다시 습기를 머금어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뽀송하게 말랐다면 최대한 빨리 개어서
옷장에 보관하는 것이 신선함을 유지하는 비결입니다.
특히 속옷과 수건은 우선적으로 정리하세요.
빨래 중 실내 습도 확인은 어떻게 할까요?
습도계를 사용하면 실내 습도 관리를 더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적정 실내 습도는 40~60%이며, 70% 이상이 되면
빨래가 마르는 데 어려움이 생깁니다.
제습기가 없어도 아래 방법으로 어느 정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방법 효과 수준 설명
신문지 깔기 | 중간 | 바닥 습기 제거용 |
베이킹소다 놓기 | 중간 | 천연 습기 흡수제 역할 |
선풍기 사용 | 높음 | 공기 순환 촉진 |
'생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팁)에어컨 전기요금 절약하는 7가지 스마트한 방법 (0) | 2025.07.23 |
---|---|
계란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어도 될까? (0) | 2025.07.23 |
생활팁)뜨거운 여름, 냉장고 냄새 없애는 간단한 팁 (0) | 2025.07.22 |
생활팁)옷이 더러워졌을 때 당황하지 마세요! 상황별 얼룩 제거 필수 팁 (2) | 2025.07.22 |
김밥, 집에서 초간단하게 만드는 비법 공개! (1) | 2025.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