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눈에 보는 2026 예산 키워드
총지출 728조 원. 민생·지역·미래산업에 재배분. 청년과 취약계층 체감 사업 확대, 지역 전략산업·거점국립대 강화, 사회적기업 신규 인건비·창업 지원 신설. 환경부+2정책브리핑+2
대상별 핵심 변화 요약
청년: 일자리·창업·주거 지원 확대.
가족·돌봄: 아동·발달장애인 돌봄 인원과 가족휴식 프로그램 확대.
소상공인·수출: 수출바우처·긴급지원 신설·확대.
지역: 전략산업 특화, 지방투자촉진보조금 한도 상향. 환경부+1
생활밀착 지원 포인트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 1.2만→1.5만 명, 예산 2,848억 원.
장애인 일자리 3.4만→3.6만 개.
가족휴식 프로그램 1.5만→1.9만 명, 1인당 20→30만 원. 환경부
데이터·사례로 보는 2026 지원 항목
분야주요 내용지원 규모·한도신청 창구
수출바우처 | 마케팅·물류, 긴급지원바우처 신설 | 약 7,000개사, 긴급 최대 1.5억 | KOTRA·중기부 바우처 포털 |
사회적기업 | 취약계층 인건비 지원, 창업자금·멘토링 신설 | 인건비 321억, 창업 300억, 성장자금 +35억 | 고용부·행안부 |
장애인 돌봄 | 주간활동 서비스 확대 | 대상 +3,000명 | 복지부·지자체 |
지역투자 | 지방투자촉진보조금 | 건당·기업당 300억 상향 | 산업부·지자체 |
거점국립대 | 연구중심·AI 지역거점 신설 | 각 300~1,200억 트랙 | 교육부 |
청년·창업·고용 지원 체크
청년 채용·인턴·경력설계 프로그램 확대. 초기창업 패키지와 수출바우처 연계로 해외진출 가속. 지역 전략산업 취업 연계 프로그램은 거점국립대·지역혁신허브와 묶어서 확인. 정책브리핑
지역·대학·산업 전략 업데이트
거점국립대에 연구중심대학 인센티브와 AI 지역거점대학 신설. 지역별 전략산업 특화 지원 0.3→1.0조 원. 의료·교통 등 생활 인프라 2.3→3.1조 원으로 확대. 지역 기업은 보조금·인력·인프라 패키지를 동시 점검. 정책브리핑
예산 편성지침으로 본 신청 타임라인
3월 말 각 부처에 2026 예산 편성지침 통보. 8월 말 정부 예산안 공개 후 사업 공고 순차 집행. 하반기 지침·공고를 수시 확인해야 공모·바우처 접수 시기를 놓치지 않는다. 환경부+2환경부+2
신청 전 준비 리스트
- 대상·소득·매출 기준 확인: 사업별 요건 상이.
- 증빙 패키지: 사업계획서, 4대보험·재무제표, 지자체 확인서.
- 포털 북마크: 정부24, 각 부처 사업 포털, 수출·창업 바우처.
- 지역 연계: 지자체·거점대학 사업을 함께 탐색하면 가점·연계 가능성이 높다. 환경부+1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년 청년 주택정책 이렇게 바뀐다! (2) | 2025.09.19 |
---|---|
2026년, 임신·출산 지원 정책의 새로운 변화! (1) | 2025.09.19 |
한강버스 완전정복, 도심 교통 혼잡을 해결할 수상 교통수단 (8) | 2025.09.17 |
경복궁 야간개장 2025, 놓치면 아쉬운 특별한 밤 (19) | 2025.09.06 |
뇌 건강을 지키는 최고의 생활습관 8가지 (6) | 2025.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