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종묘 앞 142m 초고층 빌딩 논란, ‘제2 왕릉뷰’ 사태 재연되나

by 구로구로 2025. 11. 7.
반응형

 

종묘 앞 142m 초고층 빌딩 논란, ‘제2 왕릉뷰’ 사태 재연되나

세계유산 앞 초고층 빌딩, 왜 논란인가

서울 도심 한복판, 유네스코 세계유산 ‘종묘’ 맞은편에 142m 높이의 초고층 빌딩이 들어설 예정이다. 서울시가 지난달 세운4구역의 재정비촉진계획을 변경 고시하면서 기존보다 약 두 배 높이의 건물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종묘의 경관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즉각 터져 나왔다. 일각에서는 “왕릉뷰 아파트 사태의 재판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세운4구역, 20년 표류 끝에 다시 속도

세운4구역은 종묘와 청계천 사이에 위치한 지역으로, 2004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20년 가까이 표류해왔다. 문화재 심의와 사업성 부족으로 지지부진하던 사업이 이번 높이 상향으로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인근 주민들은 “드디어 도심이 살아난다”며 환영하는 분위기다.


서울시의 입장: “법적 제한 없다, 경관 훼손도 최소화”

서울시는 “세운4구역은 종묘로부터 180m 떨어져 있어,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100m 이내)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법적 규제 대상이 아니라고 밝혔다. 또한 “종묘와 남산을 잇는 녹지축을 고려한 설계로 경관 훼손은 최소화할 것”이라며, 도심의 균형 발전을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입장을 내세웠다.


국가유산청의 반박: “세계유산 영향평가 필수”

반면 국가유산청은 종묘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만큼 ‘세계유산영향평가(HIA)’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지난해 시행된 ‘세계유산법’에 따라, 대규모 개발이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에 영향을 미칠 경우 평가 의무가 생기기 때문이다.
서울시와 국가유산청의 핵심 쟁점 비교

구분서울시국가유산청
법적 거리 규제 180m 떨어져 적용 안 됨 시각적 영향 고려 시 평가 필요
건물 높이 기준 최대 142m 가능 기존 55~71.9m 유지 권고
주요 근거 도심 기능 회복, 녹지축 조화 세계유산 보존, 국제 약속 준수
대응 방향 사업 추진 계속 영향평가 이행 요구

학계 “종묘는 한국 정신의 상징, 돌이킬 수 없는 손실 우려”

문화재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을 단순한 개발 문제가 아닌, 역사적 가치 보존의 문제로 본다. 한 교수는 “종묘는 조선의 정신이 깃든 상징적 공간으로, 그 경관은 단순한 시각적 배경이 아니라 역사적 맥락의 일부”라며 “단기 개발 이익으로 훼손된다면 복구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해외 사례가 던지는 경고

비슷한 갈등은 해외에서도 있었다. 영국의 리버풀 해양 무역 도시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2021년 세계유산 자격을 박탈당했다. 오스트리아의 빈 역사 지구 역시 초고층 개발 문제로 2017년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명단에 올랐다. 이러한 전례는 종묘 개발 논란이 단순한 국내 이슈를 넘어 국제적 문제로 비화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도심 재생 vs 유산 보존, 해법은 없을까

전문가들은 “양쪽 모두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도시 재생과 문화유산 보존은 상충되는 가치처럼 보이지만, 경관 시뮬레이션과 국제 기준에 맞춘 개발 절차를 병행하면 공존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세계유산 영향평가를 통한 조정, 주변 지역의 중저층 개발 유도 등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된다.


장기화 조짐…서울시-국가유산청 ‘팽팽한 평행선’

현재 국가유산청은 서울시의 고시 내용을 토대로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반면 서울시는 “법적 하자가 없다”며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종묘 앞 초고층 빌딩 논란은 단순한 도시계획 이슈를 넘어, ‘역사와 개발의 균형’이라는 한국 사회의 오랜 과제를 다시 떠올리게 하고 있다.


 

반응형